한국 동물우화의 소설적 변용/논문 한국 동물우화의 소설적 변용(變容) 인도의 판차탄트라, 그리스의 이솝우화에까지 뿌리를 두고 있는 우화(寓話)는 한국문학에서도 <龜兎說話>를 비롯한 민담이나 가전(假傳) 형식의 단형서사문학(短型敍事文學)에 수용되어 널리 원용되어 왔다. 처음에는 단순 형태의 서사체이던 이 .. 여강의 글B(논문·편글) 2016.07.09
토끼전의 골계성과 현실 인식 토끼전은 전승되던 동물우화담의 골격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소설적 효과를 가장 잘 나타내고 있는 동물우화소설이다. 한국의 동물우화로 수용된 <삼국사기> 속의 '龜兎說話'는 "동해 용녀가 병을 얻어 토끼의 간을 얻고자 하였는데 용왕에게 자청하고 나선 거북이 육지에 나와 토끼.. 여강의 글B(논문·편글) 2012.04.21
우화소설의 세계/까치전 <까치전>은 어떤 소설인가 머리말 <까치전>은 조류의 속성을 인성에 어울리게 의인화하여 폭력과 불의를 통렬하게 풍자한 송사형 동물우화로서 가히 동물우화소설의 표본이라 할 만한 작품이다. 이 작품에는 까치와 비둘기가 선악(善惡)의 대조적 인물로 성격화되어 있다. 평화.. 여강의 글B(논문·편글) 2012.02.09
개화기의 동물우화소설- 논문(발췌) 1. 머리말 動物擬人을 수단으로 하여 동물의 개성과 인성을 결부시켜 세속적 흥미와 함께 교훈을 담은 우의적 성격을 띤 허구의 이야기는 그 자체가 지닌 해학과 아이러니, 풍자라는 강점 때문에 오랜 뿌리를 가지고 한국서사문학의 저변을 장식하고 있다. 설화에서, 가전에서, 그리고 조.. 여강의 글B(논문·편글) 2011.07.18
동물의 문학적 발상과 우화소설 - 論文 1. 머리말 동물이 투영하는 상징성은 문학발상의 좋은 밑거리가 되고 있다. 동물과 인간이 연대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온 한국적인 동물관의 근거 위에서 우리의 예술과 문학은 예로부터 동물을 끌어와서 인간의 상태를 비유하거나 상징적으로 표현하기를 좋아했다. 고소설에서 동물을 의인.. 여강의 글B(논문·편글) 2010.11.19
개구리와 뱀의 獄事 - 송사를 제재로 한 동물우화소설<蛙蛇獄案> 와사옥안(蛙蛇獄案) 작품의 줄거리 을사 4월 16일 진시쯤 청초면 지당동에 사는 개구리 잠수군 백개골이 자기 아들 올챙이를 살해한 범인으로 택림동에 사는 구렁이 진대맹을 관가에 고소한다. 당일 관가에서는 두꺼비 섬진별장이 초검관이 되어 참검을 거느리고 사건 현장으로 떠난다. 다음 날 17일 .. 여강의 글B(논문·편글) 2009.04.04
동물을 빙자한 세상이야기- 메기장군고담 글머리에 부치는 말^^^^^^ '메기장군고담'의 줄거리와 간추린 평설입니다. 옛소설이지만 세팅을 바꾸어 놓기만 하면 우리 현실사회의 일이기도합니다. 멸직장군이 꾼 꿈의 내용에 주목하여, 지금 세상에 그런 꿈을 꾼 사람은 고래장군의 해몽을 듣지 말고 가자미에게 가서 해몽을 요청하시오. ㅎㅎㅎㅎ.. 여강의 글B(논문·편글) 2007.0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