古今笑叢 15

노기다열(老妓多閱)/과여사언(果如師言)

# 노기다열(老妓多閱, 늙은 기생의 살아 온 이야기 )  신해년 봄에 내(副墨子)가 마침 영변에 가서 여러 달을 체류하였는데, 그 이웃에 老妓 옥매의 집이 있었다. 그는 이따금 내게 와서 혹은 노래도 해 주고, 혹 옛날 얘기도 하여, 나의 심심풀이를 해 주더니, 하루는 나를 향하여  "소인이 나이 칠십에 머리털은 이미 성성하여 사십 전과 같으니, 이것은 나 홀로만 그런 것이 아니고 기생은 반드시 다 그러하니이다." 한데, 내가 그 연고를 물으니 답해 가로되, "기생은 따르는 사람이 또한 많아서 재화를 탐해서 그를 따르고, 색을 탐내어 따르고, 그의 풍채를 사랑하여 따르고, 인정에 구애하여 따르고, 그 사람은 한없이 미우나 위엄과 호령에 겁내어 따르고, 우연히 옛날 사람을 만나 따르고, 이와 같고 저와 같..

橋榜不出(교방불출)/三物俱失(삼물구실)/厠間瞻語(칙간첨어)

# 교방불출(橋榜不出, 교하방은 나오지 않았다.) 옛날에 한 선비의 아들이 글이 짧더니, 과거장에 들어가서 아침서부터 밤에 이르도록 소매 속에 시저(試楮,시험지)를 감췄다가, 가만히 다리 아래에 던지고 돌아오거늘, 榜이 나붙으매 여러 집에서 종을 보내어 방을 볼쌔 그 선비도 또한 종으로 하여금 가 보게 하니, 종이 말해 가로되, "교하방(橋下榜)은 아직 나오지 않았소이다." 한데, 듣는 자가 모두 웃었다. # 삼물구실(三物俱失, 세가지 물건을 모두 잃다) 한 선비가 완악한 종놈을 두었는데, 데리고 다른 집에 갔더니, 어두워 오매 경계해 가로되, "너 절대로 졸지 말고, 자지 말고, 釜子 鞍匣(말 안장 밑가리개) 및 大分土(가죽신)를 잘 보살펴라." 이튿날 아침에 종이 먼저 고해 가로되, "부자를 이미 잃..

환제참과(換題參科)/시학포복(始學匍匐)

# 환제참과(換題參科, 제목을 바꾸어 과거에 등제하다) 해남 유생에 尹敏이란 자가 일찌기 과거에 나아갈쌔, 泰仁郡의 여러 선비들이 시험관이 사사로이 봐 준다는 말을 듣고 다 제목고치기를 청한데, 처음에 '현룡 재전(見龍在田)'으로 賦題를 삼았다가 '이집극오(以集戟烏)'로 고치었는지라. 윤민이 시부를 썩 잘 지으매, 스스로 자랑하여 반드시 들어맞는다고 하였으나, 평소에 겁이 많아 그 개제할 것을 알지 못하고, 처음의 현룡 재전의 시부를 지었더니, 그 同接이 다 시를 짓는 사람들이라. 비록 한 자리에 앉았으나 서로 묻지 아니하니, 종이에 쓰기를 반넘어 씀에 마침 한 擧子가 보고 가로되, "오늘 題가 '以集戟烏'인데 이 벗은 어째서 '見龍在田'으로 지었느뇨?" 윤민이 가로되, '현룡 재전'은 시관의 낸 바 제..

책공소홍(責工少紅)/조각훈도(朝却訓導)/청가사취(請加四吹)

# 책공소홍(責工少紅, 주홍이 적은 화공의 그림을 책하다) 선무공신 화상에 李白沙가 다섯 가지 채색으로 얼굴을 그려 넣는 수를 보고, 화공에게 일러 가로되, "朱紅이 어찌 너무 적으뇨?" 하니, 화공이 그것이 무슨 말인 줄 알지 못하여 머리를 낮추어 가로되, "주홍은 반드시 많이 들 것 없습니다." 백사가 소리를 가다듬어 가로되, "주홍이 만약 적은즉 洪璡令公의 코를 네가 어찌 그렸느냐?" 한데, 대개 唐興公 洪璡令이 코등 끝이 크고 붉은 연고로 그렇게 말했느니라. 듣는 자 모두 웃었다. # 조각훈도(朝却訓導, 아침훈도는 볼 생각이 없다) 宋言愼이 관동伯이 되어 매양 각 읍에 순역할쌔 읍에 기생이 없은즉, 저녁에 이르러 반드시 훈도를 불러 말 속에 客枕이 심심하단 뜻으로 말했더니, 훈도가 ..

一家天子/窃婢逐盜/結婚姻

# 일가천자(一家天子, 한집안의 천자) 한 노인이 아들만 십오 형제 두었는데 항상 말하기를, "우리 집은 한 나라인데, 나로 말하면 곧 천자이시요, 나의 처로 말하면 황후일 것이요, 세 아들은 三公이요, 여섯 아들은 六丞旨요, 다음 여섯 아들은 六卿이라." 하고 무릇 집안의 政事를 稟한 후에 행하며, 형벌과 법령의 시행에는 반드시 邦典을 좇아 행하였다. 그 노인이 죽음에 다달아 처의 손을 잡고 최후의 눈을 감으며 이르되, "황후 황후여 ! 朕은 이제 장차 崩御하노라." 하고 말하니, 이를 전해 듣는 자 있어 냉소해 마지 않았다. # 절비축도(窃婢逐盜, 도적을 쫓아낸 여종) 李哥란 자가 朝官으로 있어 그 부리는 여종을 항상 훔치더니 어느날 여종을 이끌고 자기의 莊園에서 거사할쌔, 그 合歡의 형상이 숲 사이..

몽학강교(蒙學强敎)

# 몽학강교(蒙學强敎, 엉터리 학문으로 후학을 그릇가르친 접장) 옛날에 한 접장이 글뜻은 알지도 못하고 굳이 남의 스승이 되어 論語를 강의 할쌔, "공자가 가로되 道가 행해지지 않는지라, 떼를 타고 바다에 뜨리니 나를 좇는 자는 仲由뿐인져", 하는데 이르러 해석해 가로되, "공자가 뭍길로 행하기 어려운 기약이 있는 고로 물길로 좇아 떼를 타고 갔음이라." 한데, 동자가 가로되, "유(由)라 함은 무엇이오?" 가로되, "그 좇는 자를 말미암음이라는 것을 줌이니라." 동자가 가로되 "무엇이 말미암음을 줍니까?" 가로되, "물길이 뭍길보다 어려우니 여러 날 걸리기 때문에 좇는 자들이 빨래할 틈에 가히 주지 아니치 못할지니라." 대개 孔子曰의 曰자는 日자로 해석했고, 仲由의 由자는 給油의 油자로 그릇 앎이었다...

煩簡俱迃(번간구오)/宋莫皆中(송막개중)

# 번간구오(煩簡俱迃, 이문은 번거로울 것이 아니라 간략해야 한다) 뇌계 兪好仁이 천성이 순후하고 근엄하여 문장에 능난하니 성종대왕이 가장 사랑하시었거늘, 뇌계가 校理로써 시골로 돌아다니겠다 하여 山陰縣에 나아앉았더니 워낙 吏治에 어둡고 文簿가 심상하여 능히 재단치 못하는지라. 한 어리석은 백성이 있어 "솥을 잃어버렸으니 원컨대 그걸 도로 찾아지이다." 하고 정상했거늘, 뇌계가 종일 연구해 봐도 처리할 길이 발견되지 않아, 그 백성이 오래 기다렸다가 이에 호소해 가로되, "처리해 주심을 감히 바라지 않사옵고, 오직 원컨댄 本狀이나 찾게 하여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한데. 뇌계가 이에 난처하게 생각하고 얼마 후에 처리해 가로되, "무릇 여러 吏文은 모름지기 번거롭게 할 것이 아니요, 마땅히 간략함을 요함이..

공당문답(公堂問答)/분귀취처(粉鬼娶妻)/호승지함(呼僧止醎)

# 공당문답(公堂問答, 公자 堂자로 문답의 韻을 삼다) 古佛 맹사성이 재상으로 있을 때에 온양으로부터 돌아오던 중 비를 만나 용인 旅舍에 들어갔더니, 한 사람이 구종배를 거느린 품이 대단하고 먼저 여관 다락 위에 와서 들었거늘, 공이 들어가 한 모퉁이 앉아 있더니, 다락에 올라 먼저 든 자는 곧 영남의 큰 부호로 錄事가 되어 보려는 시험에 응해 올라오는 자였다. 공을 보고 청해서 자리를 함께 하여 담론하고 희롱의 말도 하고 했는데, 또한 公字堂字로 문답의 운을 삼으니, 공이 물어 가로되, "何以上京公인고." (무슨일로써 서울에 가느뇨?) 그 사람이 가로되 "錄事取才上去堂이라" (녹사 시험보러 올라가노라.) 하니 공이 웃으면서 가로되, "내가 그대를 위하여 差除公이라 하리라." 한데 그 사람이 가로되 "㬨..

화이기성(畵梨記姓)/현명구실(眩名求實)/부설고담(婦說古談)

# 화이기성(畵梨記姓, 배 그림으로 성을 적다) 어떤 사또가 캄캄하고 어리석어 건망증이 있거늘, 鄕任으로 있는 좌수가 배 씨인데 매양 入謁하매, 사또가 문득 그 성을 묻는지라 좌수가 괴로와서 사또에게 말해 가로되, "城主께서 매양 백성의 성을 물으시고, 또한 자고 나면 잊으시니, 배(梨)의 釋音이 소인의 성으로 더불어 음이 같은고로, 만약 배를 벽 위에 그리어 항상 눈앞에 있게 하면 가히 잊지 않으리이다." 사또가 기뻐하여 가로되, "그렇게 하라." 하고 곧 배를 그 벽 위에 그리었는데, 적이 그 꼭지가 길었다. 다음날도 좌수가 들어갔더니, 사또가 벽화를 우럴어보면서 가로되, "그대가 蒙同 좌수[몽동이란 治石용으로 쓰는 둥근 쇠자루]가 아니냐". 좌수가 일어나 절하면서 가로되, "소인의 성은 배 가요 몽..

신혼폐학(新婚廢學)/기부투심(妓夫妬甚)/유여송이(猶如松栮)

# 신혼폐학(新婚廢學, 신혼에 학문을 폐하다) 성주에 한 선비의 아들이 있어 新婚한 후에 新情에 빠져 거의 학문을 폐하거늘, 그 아비가 타일러 가로되, "젊었을 땐 色을 경계할 것이다. 하물며 남녀의 교제에 있어 정에 끌려도 有別이라야 이에 家道를 이룰지니, 마땅히 서울에 유학하여 家門을 입양하라." 그 아들이 인사하고 집을 떠나감에 이웃집에 숨어 매일밤 담을 넘어 가만히 그 처를 보고 다니더니, 젖어미가 늙은이에게 고해 가로되, "집안에 크게 이상한 일이 생겼습니다. 아드님이 서울로 가신 후 신부가 외인과 더불어 사통하여 밤마다 흔적이 은근하니, 마땅히 빨리 조처하십시오." "실지로 보았느뇨?" 하고 의심하고 있던 차에 하루는 유모가 흔적을 잡고 늙은이에게 아뢰되, "남자가 지금 담을 넘었습니다." 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