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치기
장치기는 여러 사람이 편을 갈라 각기 1.5~2 미터 가량의 장대를 가지고 공을 쳐서 적진에 들여보내는 놀이이니 지금의 필드하키와 방불한 것이다. 5,6십년 전만 하더라도 전국적으로 전승된 청소년의 체육경기적 유희의 하나였지만 현재는 찾아볼 수 없게 되었다.
물론 경기에 쓰이는 장대에 일정한 규격이 있는 것이 아니고, 치는 공이라는 것도 적당한 크기의 나무토막이나 양철통 같은 것으로 대용하였으며, 젊은이들이 단체적으로 참가하는 흥미로운 놀이였다.
장치기의 기원은 글안, 여진 등 북방민족의 무예적 놀이에서 찾을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즉 중국이나 우리나라에서 격구(擊毬)라고 하는 것이 이것이며, 이 격구는 원래 요(遙), 금(金)에서 성행하던 것이었다. 이것이 중국과 우리나라에 유입된 것인데 고려시대에 가장 활발하였고 조선왕조 초기까지 계승되었다.
격구의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넓은 구장(毬場)에 구문(毬門)을 세우고 구장(毬杖)을 든 말 탄 선수가 일정한 거리에서 말을 달리며 구장으로 구(毬)를 몰고 가다가 이것을 구문으로 통과시키는 것이니, 흡사 오늘날의 포울로(polo)경기와 같은 것이다. 고려, 조선 양조의 궁중 악무인 포구락(抛毬樂)이 여기서 유래된 것임은 다 아는 바다.
이와 같은 기마격구(騎馬擊毬) 외에 또 도보격구(徒步擊毬)가 있어 이것을 대개 타구(打毬)라고 하였고, 또 봉희(棒戱)라고도 불렀다.
기마격구가 포올로경기와 비슷한데 대하여 이 도보격구, 즉 타구는 필드하키 내지 골프에 비길 만하다. 그런데 격구는 기마경기이고 타구는 도보경기라고 확연히 구별된 것은 아니며, 피차간에 혼동이 있으나, 대략 도보 경기를 타구라고 이른 듯하다.
어떻든 격구나 타구는 궁중 내지 상류층의 놀이였는데 조선 왕조 중엽 이후 쇠퇴하여, 그 여류가 민간으로 흘러 장치기라는 민중오락으로 되었다고 생각된다.
(장재연 외 3인 공편<한국풍속지> 참조)
'歲時風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생활 속의 얼음 이야기 (0) | 2015.08.02 |
---|---|
정월 대보름/달집태우기/달맞이 (0) | 2015.03.04 |
민간신앙/신화와 전설4) 장자못 전설, 나무꾼과 선녀 (0) | 2014.10.22 |
민간신앙/신화와 민담3) 처용설화와 삼신할머니신화 (0) | 2014.10.08 |
민간신앙/신화와 민담2) 삼성시조신화와 고주몽신화 (0) | 2014.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