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설화(處容說話)
천신이나 산신과는 달리 수신(水神)인 용신(龍神)의 하강(下降)에 대한 처용설화가 있다. 이 설화는 향가로 적혀 있을 뿐만 아니라, 고려시대의 처용가(處容歌)라는 무가가 있어 향가 해석의 실마리가 되었으며 또한 문학적 묘미를 지니고 있어 국문학자들에 의하여 비교적 많이 연구된 설화이기도 하다.
신라 제49대 헌강왕 시대에 서울서부터 바다에 이르기까지 풍악과 노래가 그치지 않고 풍우가 사철 순조로왔다. 이 때 대왕이 개운포에 출유(出遊)하였다가 돌아오는 길에 갑자기 구름이 끼어 길을 잃을 지경이었다. 괴상히 여겨 일관(日官)에게 물으니, 동해 용왕의 조화이므로 좋은 일을 행하여 풀 것이라 했다. 대왕이 근처에 절을 세우도록 하니 구름이 걷혔다. 그래서 개운포(開雲浦)라 이름지었다.
용왕은 기뻐하여 아들 일곱을 데리고 임금 앞에 나타나 덕을 찬양하며 춤을 추었다. 그 중 한 아들은 임금을 따라 서울에 와서 정사를 보좌하였는데, 이름을 처용(處容)이라 하였다. 왕이 그를 머무르게 하고자 미녀로 하여금 아내를 삼게 하고 벼슬까지 주었다. 그의 아내가 아름다왔으므로 역신(疫神)이 흠모하여 사람으로 변해서 밤에 그 집에 가서 몰래 동침하였다. 처용이 밖에서 놀다가 집에 돌아와 보니 자리에 두 사람이 누웠음을 보고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물러나갔다. 그 노래는 이렇다.
서울 밝은 달에 밤드리 놀다가
들어와 자리를 보니 가랑이 넷이러라
둘은 내해이고 둘은 뉘해인고
본디 내해이다마는 빼앗았음을 어찌하리꼬
그 때에 역신이 그 앞에 무릎을 꿇고 앉아 말하기를 "내가 공(公)의 아내를 사모하여 지금 잘못을 범했는데 공이 노하지 않으니 감격하고 아름답게 여기지 않을 수 없다. 이후로는 맹세코 공의 형용을 그린 것만 보아도 그 문에 들어가지 않겠노라" 하였다. 이로 인하여 나라 사람들은 처용의 형상을 문에 붙여서 사귀를 물리치고 경사를 맞아들이는 습관이 생겼다. 왕은 서울에 돌아와 영취산 동쪽 기슭에 승지를 택하여 망해사(望海寺)라는 절을 지었다.
이 설화에는 개운포 지명유래 전설과 산신무(山神舞)설화가 겹치고 있으나 그 핵심은 처용설화가 기본이 되고 있다. 즉 용신(龍神)의 하강과, 용신과 역신의 투쟁을 그린 것이다. 여기서 역신은 악신이며 용신은 선신이 되어, 처용의 선신적인 성격을 강조하고 악신 구축을 아주 이상적으로 다루고 있는데 불교적인 영향인지도 모를 일이다. 그 수식이나 어휘는 변모되었을지 몰라도 선신과 악신의 대립에서 선신의 승리로 악신을 퇴치하는 벽사진경의 구조는 변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는 무속신앙과 상당히 일치하는 관념으로, 처용가를 무가로 볼 수 있는 중요한 이유 중의 하나이다.
삼신할머니신화
처용설화와 같은 계통의 무속신화를 제주도 신화에서 발견할 수 있으니 역신이 마마신[天然痘神]인데 이를 막아주는 선신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출산수호신(出産守護神)인 삼신할머니 신화가 있어 처용설화를 구체적으로 보충해 주는 셈이다.
삼신[産神]인 맹진국할머님이 두신(痘神)인 서신국마누라를 만났다. 할머님은 자식을 낳게 하는 삼신이고 마누라는 자손에게 홍역을 시켜주는 두신(痘神)인데 서로 우위를 다투다가 상대방의 집으로 갔다. 삼신할머님은 두신마님에게 태기(胎期)를 주고 두신마누라는 할머님 자손에게 홍역을 시켰다. 그런데 홍역을 하는 자손의 얼굴이 형편없는 꼴이 되었다. 이에 화가 난 할머님이 마누라의 며느리가 열넉달이 되어도 해산을 못하게 하니 마누라가 안절부절못하다가 삼신할머니에게 빌면서 그녀의 자신의 얼굴을 전보다 더 곱게 만들었다. 삼신할머니는 두신마누라의 며느리를 해복시켜주나 병신자식을 낳게 하니 두신마누라가 삼신할머니의 재주에 항복을 하였다.
이밖에 또 구삼신할머니라는 신이 있다. 그는 용왕국 출신의 악신으로, 선신인 삼신할머니에게 저승으로 쫓겨간 궂은 할망구라고 하여, 결국 이 할망구가 들면 아기들이 크지 못하고 잔병이 나고, 그래서 아기를 잃어버리기가 일쑤라고 해서 대단히 두렵게 여기는 신이다. 그러나 아기들에게 이 서신국마누라, 구삼신할머니 등 악신이 들면 그 비위를 건드리지 않고 곱게 배송(拜送)을 하려고 하며, 동시에 이 악신들을 이기는 선신인 삼신할머니를 모셔서 아기 병을 낫게 해주기를 비는 것이다.
처용설화는 한국적인 체념을 주제로 한 것, 또는 주술적인 것으로 해독하는 등 구구한 해석이 있으나, 처용의 선신적 성격과 역신의 악신적 성격을 대립시켜 묘사한 것으로 보는 것이 가장 무난할 것이다. 그래야 고려 가요인 처용가의 선신적 수사와 처용가면(處容假面)의 인자한 모습도 아울러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신화가 신의 세계를 그리고 신의 활동을 설명하고 있으나, 전설은 지명이나 건물 등에 관련시켜 전승되는 이야기의 개념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신화와 민담과는 드나들기 쉬울 뿐만 아니라 실제로 신화이면서 전설이고 전설이면서 민담이 되는 경우가 있어 정확히 구별하기란 힘들다.
(梁在淵 외 3인 共編 <한국풍속지> 참조)
'歲時風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승놀이 및 오락/ 장치기 (0) | 2015.01.22 |
---|---|
민간신앙/신화와 전설4) 장자못 전설, 나무꾼과 선녀 (0) | 2014.10.22 |
민간신앙/신화와 민담2) 삼성시조신화와 고주몽신화 (0) | 2014.09.27 |
민간신앙/신화와 민담1) 단군신화 (0) | 2014.09.17 |
청명/청명주/한식 (0) | 2014.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