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칠석/ 견우직녀
음력 7월 7일, 이 날이 되면 견우와 직녀가 까막까치들이 놓은 오작교에서 한 해에 한 번씩 만난다고 한다. 이에 대한 전설은 중국에서 전래된 것이다. 주(周)나라에서 한대(漢代)에 걸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여러가지로 윤색되어 왔다.
전설에 의하면 하늘과 땅을 다스린다는 옥황상제에게 어여쁜 딸 직녀가 있었고, 옥황상제의 궁전과 은하수를 사이에 둔 건너 쪽에는 견우라는 젊은이가 있었다. 옥황상제는 이 젊은이가 착하고 부지런하며 농사 일에 열중함을 인정하여 자기 딸과 결혼을 시키기로 하였다.
그런데 이 젊은이들은 너무나 사이가 좋아서 자기들이 맡아서 하던 일을 하지 않았다(이들의 이름이 표상하듯 견우는 소먹이는 목동이고 직녀는 베를 짜는 아가씨였다). 열심히 베만 짜던 직녀는 베틀을 멀리 했고, 소를 먹이며 밤낮으로 농사짓기에 힘을 다하던 견우는 부지런히 일하던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이들이 일을 하지 않으니 천계(天界)의 현상이 혼란에 빠져버렸고 농작물은 열매를 맺지 못했다. 사람들은 천재(天災)와 기근(饑饉)으로 고통을 받게 되었다. 이것을 본 옥황상제는 크게 노하여 공주 직녀를 은하수 동쪽에 살게 하고, 부마(駙馬) 견우는 은하수 서쪽에 살게 하였다.
그렇지만 둘이 서로 만나지 못하게 한 것을 애통하고 가엽게 여겨서 1년에 한 번 칠석날 밤에만 서로 만나게 해 주었다. 이 때 지상의 까막까치들은 하늘로 올라가 은하수에 모여 자기들의 몸을 잇대어 오작교(烏鵲橋)를 놓고 견우와 직녀가 만날 수 있도록 하여주었다는 것이다. 또는 까마귀와 까치가 머리로 돌을 날라다 은하수에 다리를 놓았기 때문에 칠석 이튿날 아침 까마귀와 까치의 머리는 벗어진다고 한다.
칠석날에는 비가 내리는 것이 보통인데, 이 날 오는 비는 견우와 직녀가 1년만에 만나는 환희의 눈물이라고 한다. 또 이튿날 오는 비는 만나자 이별하는 작별의 구슬픈 눈물이라고도 전한다.
이 날의 풍습으로 걸교(乞巧)라 하여 처녀들이 견우와 직녀성에 바느질 솜씨가 늘기를 빌었다. 또 선비들과 공부하는 소년들은 두 별을 제목으로 하여 시를 지으면 문장에 숙달된다고 하여 시를 지었다.
또 이 날에 비가 내리지 않으면 가정에서는 물론 중앙에서도 책과 옷을 햇볕에 말렸다. 7월 7일쯤 되면 장마철도 지났으므로 이 때 말려두면 옷과 책이 좀먹는 일이 없이 겨울을 날 수 있다고 믿었다.
또 이 날에는 칠석차례라고 하여 올벼를 사당에 천신하였고, 샘을 깨끗이 치우고 떡을 해 놓고 샘고사도 지냈다. 칠석제 또는 칠성제라고 하여 부인들이 밤에 칠석단을 모아 놓고 음식을 차려 집안이 잘되라고 복을 빌기도 하였다.
이 날 떡을 해서 논에 가 용신제(龍神祭)를 지내고, 혹은 농사짓기 시합을 하였다.
한편 이 날은 김매기, 밭매기가 끝났다고 하여 하루를 쉰다. 농군들이 장월리를 거둬 술메기를 한다.
# 7월령 농가월령가
칠월이라 맹추되니 입추 처서 절기로다
화성은 서류하고 미성은 중천이라
늦더위 있다 한들 절서야 속일소냐
비 밑도 가볍고 바람 끝도 다르도다
가지 위의 저 매아미 무엇으로 배를 불려
공중에 맑은 소리 다투어 자랑는고
칠석에 견우 직녀 이별루가 비가 되어
성긴 비 지나가고 오동잎 떨어질 제
아미같은 초생달은 서천에 걸리거다
슬프다 농부들아 우리 일 거의로다
얼마나 남았으며 어떻게 되다 하노
마음을 놓지 마소 아직도 멀고 머다
골 거두어 김매기 벼포기에 피 고르기
낫 벼려 두렁 깎기 선산에 벌초하기
거름풀 많이 베어 더미 지어 모아 놓고
자채 논에 새 보기와 오조 밭에 정의 아비
밭가에 길도 닦고 복사도 쳐 올리소
살지고 연한 밭에 거름하고 익게 갈아
김장할 무우 배추 남 먼저 심어 놓고
가시 울 진작 막아 허실함이 없게 하소
부녀들도 셈이 있어 앞일을 생각하소
베짱이 우는 소리 자네를 위함이라
저 소리 깨쳐 듣고 놀라서 다스리소
장마를 겪었으니 집안을 돌아보아
곡식도 거풍하고 의복도 폭쇄하소
명주 오리 어서 뭉쳐 생량전 짜아내소
늙으신네 기쇠하매 환절 때를 근심하여
추량이 가까우니 의복을 유의하소
빨래하여 바래이고 풀 먹여 다듬을 제
월하의 방추 소리 소리마다 바쁜 마음
실가의 골몰함이 일변은 재미로다
소채 과실 흔할 적에 저축을 생각하여
박 호박 고지 켜고 외 가지 짜게 절여
겨울에 먹어 보소 귀물이 아니될까
목화밭 자로 살펴 울다래 피었는가
가꾸기도 하려니와 거두기에 달렸느니
'歲時風俗'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음력 10월의 세시풍속/농가월령가 10월령 (0) | 2009.12.01 |
---|---|
조상에 대한 祭儀 (0) | 2009.11.07 |
복날[三伏]/ 유두(流頭) (0) | 2009.07.22 |
윤달(閏月)-윤5월/ 윤달의 풍속 (0) | 2009.06.28 |
단오절(端午節)의 풍속 (0) | 2009.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