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승고표(神僧藁俵, 노승의 쌀가마니)
마을에 한 과부가 외롭고 가난하게 사나, 오랫동안 정절을 지켜 소문이 원근에 자자하였다. 하루는 날이 저물어 한 노승이 바랑을 지고 錫杖을 이끌고 와서 싸릿문을 두드리며 하룻밤 자고 가기를 청하거늘,"저의 집은 워낙 가난하고 또 남정네도 없으며 내가 홀로 단간방에 살 뿐이니 딴 데로 가소서." "이미 날은 어두었고 밖에 인가가 없으니 자비심으로써 일박을 허락하시면 그 은혜가 크리로다." 하므로 부득이 허락한 후에 보리밥과 토장국이나마 깨끗이 바치니, 스님이 주린 끝에 달게 먹었다. 주인은 늙은 스님을 생각하여 아랫목에서 쉬게 하고 자기는 웃목에서 자게 되었는데, 여주인은 옷조차 벗지 않고 그냥 잤다. 서로 잠이 오지 않아서 끙끙대다가 스님이 잠든체하고 다리로써 여주인의 다리 위에 걸어 놓은즉, 여인이 양손으로 공손히 내려 놓았고, 얼마 후에 또 한 손을 여인의 가슴 위에 올려 놓은즉 여인이 또한 두 손으로 공손히 내려놓으며, "너무 곤하셔서 이렇게 하시는가 보다." 하고 새벽이 되자 일찍 일어나 밥을 지어 깨끗하고 담박한 밥상을 올리었다. 스님이 또 달게 다 자신 후 "볏짚이 있으면 몇단 주시오." 하거늘 볏짚을 드렸더니 그것으로 스님은 가마니를 짜서, "후한 은혜를 무엇으로 사례하리까. 이로써 禮謝하노라." 하고 소매를 떨치고 가니, 그 간 바를 알지 못하겠더라.
여인이 얼마 후에그 가마니 속을 들여다 보니 이것이 웬일이냐 흰쌀이 그 속에 그득하였다. 쌀을 궤속에 옮기고 난즉 또다시 그 가마니 속이 쌀로 불룩하였다. 그리하여 그것은 마치 화수분 모양으로 언제나 쌀로 그득하여 이로부터 巨富가 되었다.
이웃마을에 욕심 많은 과부 한 사람이 이 소문을 듣고, "나도 마땅히 중이 와서 자게 되면 그렇게 하리라." 하고 스님이 찾아오기를 고대하더니, 하루는 석양 무렵에 한 늙은 스님이 하룻밤 자고 가기를 청하거늘, 과부가 곧 허락하여 저녁밥을 대접한 후 함께 한 방에서 자더니, 여인이 거짓 자는 체하다가 먼저 자기 다리를 스님의 배 위에 걸어 놓은즉 스님이 손으로써 내려놓고, 다시 여인이 손으로써 스님의 가슴 위에 걸어 놓은즉, 스님이 다시 가만히 내려놓기를 무수히 하다가, 아침에 여인이 일찍 일어나 조반 지어 대접한즉, 스님이 떠날 때 과연 볏짚을 청하는지라, 여인이 크게 기꺼워하여 볏짚 여러 단을 가져간즉 스님 또한 가마니 한 개를 만들어 주곤 훌훌히 떠나갔다.
여인이 그 가마니 속을 들여다 본즉, 이것이 무엇이냐? 해괴하기 그지없다. 陽物이 하나 그득 쌓였거늘 여인이 크게 놀래어 솥뚜껑으로써 덮으니 이번엔 솥뚜껑 속에도 또 그것이 꽉차는지라, 여인은 미칠 지경이 되어, 그것을 우물에 던져버리니, 우물 안에 그득한 것이 양물 천지라, 그것이 어지러이 날고 뛰어서 온 집안에 꽉 차니, 여인이 過慾을 뉘우쳐 神僧의 경계하심을 비로소 깨치더라. <村談解이>
# 양물유구(陽物有垢, 양물에 때가 끼어)
제주도의 어부 한 사람이 大金을 가지고 서울에 와서 객사에 들었거늘, 그집 주인 부부는 성품이 본디 포악한지라, 詭計로써 장차 그 돈을 뺏고자 하여 그 처를 시켜 나그네가 깊이 잠든 틈을 타서 가만히 나그네의 자는 방에 들어가게 하고, 그 사람이 잠을 깰 때를 기다려 그 주인이 노발대발하여 가로되,
"네가 남의 처를 유인하여 객실에 이끌어 간통하니 세상에 어찌 저와 같은 나그네가 있을까보냐." 하고 팔을 벌려 두드리며 관가에 고소하여 간통죄로써 다스리라 하고, 일부러 그 처를 때린 즉 그 처가 가로되,
"나그네가 나를 꾀어 방으로 들어가 강제로 劫姦하려고 하였다." 하니,
나그네가 깊은 밤에 뜻아니한 봉변을 당하는구나 하였으나 유규무언에 어찌할 수가 없는지라,
나그네의 결백함을 누가 능히 변명해 주며 누가 능히 증거하리오. 그 주인이 관에 고소하려고 가는데 한 사람이 들어와 나그네에게 이르되,
"관가에 고발되면 손재망신을 의당히 받을 바이니 돈으로써 사과하고 서로 화해하는 것이 어떠하오?" 하거늘,
이는 그 주인이 가만히 딴 이를 시켜 청택함이이러라.
나그네가 억울함이 그지없으므로 돈을 내어 사과하기도 저허해서 그냥 방치하고 있었더니, 얼마 후에 官廷의 소환을 받아 변명할 바가 없더니 문득
"房事를 행한 陽莖에 때가 있겠소이까?" 한즉 사또가 가로되,
"어찌 때가 있겠느냐. 반드시 때가 없느니라."
"그러면 저의 陽莖을 검사하소서."
하고 내어 보이는데 사또가 자세히 보니 양경에 골가지가 잔뜩 끼어 냄새가 고약한지라.
이에 곧 나그네의 애매한 것을 알고 객사의 주인 부처를 국문한즉, 부부가 돈에 탐이 나서 誣告했다고 자백하였다. <村談解이>
# 비승어양(鼻勝於陽, 양물보다 큰 코)
한 여인이 심히 음탕함에 남자의 물건이 큰 것만 찾고자 하였다. 속말에 이르되, '코가 큰 자는 그것이 크다.' 하여 코가 큰 자만을 찾아 헤매더니, 하루는 마침 앞마을 장날이라 자세히 오고가는 사람들을 본즉 별로 코 큰자가 없거늘 그 희망이 꺾이는가 실망하고 있었더니, 날이 저물어 황혼이 되어갈 때 마침 삿갓을 쓰고 오는 촌사람이 행색이 초췌하나 크게 취하여 저자를 지나가거늘 그 코를 쳐다보니 여늬사람 코보다 거의 곱배나 커 보였는데, 그 코는 풍만하고도 높았다.
여인이 심히 기꺼워하여 "이 사람이야말로 반드시 그것이 위대하리라." 생각하고 감언이설로 자기 집에 유인하여 산해진미를 차려 놓고 저녁밥상 대접한 후에 밤들기를 기다려 房事를 행하기 시작하였는데, 이것은 웬일이야?
그 사람의 陽物이 의외에 어린아이의 그것과 같은지라 쾌욕을 얻을 수가 없어 참지 못하여,
"이게 왜 코만도 못해?" 하고 꾸짖으며,
그 사람의 얼굴 위에 누워 높은 코에 자기의 陰戶를 들여미니 오히려 그 사람의 陽物보다 勝한지라, 코를 향하여 자유자재로 陰門을 문지르니 그 사람이 얼굴 치어들어 호흡하기 곤란하여 거의 昏倒할 지경에 이르렀더니, 첫닭소리가 울리고 이어 동방이 훤히 밝아오니 여인이 일어나 그 사람을 쫓아 내거늘,
그 사람이 창황히 문을 나서서 자기 집으로 돌아가려고 한즉, 길가에서 사람들이 서로 그 사람의 얼굴을 바라보면서
"웬 미음이 온 얼굴에 가득 붙었느냐?" 하고,
또다시
"당신은 미음을 입으로 먹지 않고 코로 마시느냐." 하고 야유하더라. <촌담해이>
'유모어의 한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請吏寫祝(청리사축)/添字誤下(첨자오하) (1) | 2022.10.11 |
---|---|
심모분작(沈毛分酌)/사부전약(士負前約)/양남상합(兩男相合) (0) | 2022.08.06 |
공당문답(公堂問答)/분귀취처(粉鬼娶妻)/호승지함(呼僧止醎) (0) | 2022.06.09 |
喪人知時(상인지시)/幣婦産兒(폐부산아)/妹夫居喪(매부거상) (0) | 2022.01.28 |
妄疵取哂(망자취서)/輕侮懷慙(경모회참)/羞妓賦詩(수기부시) (0) | 2021.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