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강의 글B(논문·편글)

고소설<두껍전>을 통해 본 민속(3) - 관상 점복 기타

如岡園 2010. 4. 28. 18:56

觀相 占卜, 餘他의 민속

 <두껍전>은 후대로 오면서 풍자의 대상이 실종되고 전혀 다른 방향에서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가고 있는데 이것은 <두껍전>을 향유했던 당대인들의 서로 다른 시선이 작용한 결과이다. 그 중에서 醫藥 卜術에 대한 장황한 두꺼비의 언설은 곧바로 <두껍전>을 읽었던 당대 그 계층의 의식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두꺼비의 언설을 통한 복술(卜術)과 상(相)보는 법은 점복의 내력과 관상의 지침이 나열되면서 두꺼비가 지닌 지식이 유감없이 발휘되고 있다.

 점복은 민중의 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인간의 지능으로 예측할 수 없는 미래사나 부지의 일을 주술의 힘을 빌려 추리 내지는 판단하는 행위였다. 우리 나라의 점법도 일찍이 중국의 복서(卜筮)의 영향을 받아 진작부터 있어 왔고 그것은 집요하게 민속신앙의 한 부분으로 존재하고 있다. <두껍전>에서는 작괘점(作卦占)과 관상점(觀相占)이 주로 소개되고 있는데 작괘점에서는 음양오행이나 수리를 기초로 괘를 만들어 이것을 수리적으로 해석하여 길흉을 판단하고 관상점에 있어서는 골격 수족 또는 음성이나 거동 등에 나타난 특징을 보아 그 사람의 성격, 심성, 운명 등을 판단하고 있다.

 

관상점(觀相占)

 상보는 법은 대저 사람의 오악을 살피고 혈색을 보아 부귀공명을 알고 금목수화토 오행으로 육엽을 붙여 보는데, 김광순 소장본 <두껍전>의 상보는 법을 간추려 보면 다음과 같다.

 * 일월각이 좋으면 소년급제한다.

 * 귀와 눈이 영채가 있으며 눈썹이 초생달 같으면 고관대작한다.

 * 인중이 길고 수염이 있으면 장수한다.

 * 명치와 법령이며 코가 좋으면 부자된다.

 * 인중이 골이 깊으면 자식이 많다.

 * 누당이 낮으며 인중이 번번하면 자식이 없다. 

 * 눈썹이 길면 형제가 많다.

 * 눈썹 끝이 살이 있으면 처궁(妻宮)이 그릇된다.

 * 눈초리가 아래로 처지면 더부러 말을 말아야 한다.

 * 눈이 세모지면 성품이 독하다. 

 * 입술이 건순지면 성품이 고약하다. 

 * 입술이 엷으면 가난하다.

 * 웃을 때 눈을 감으면 죽어 관곽이 없다.

 * 옥노성이 높으면 장수한다.

 * 법령이 뚜렷하면 의식이 족하다.

 

 이본에 따라서는 관상법에 있어서도 다소 가감이 있는데 덕흥서림본 <두껍전>은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고 있다. 

 * 천정이 수려하고 일월각이 좋으면 벼슬을 높이한다.

 * 귀밑이 희면 소년급제한다.

 * 눈에 영채가 있으면 벼슬한다.

 * 인중이 길면 수한다.

 * 명치와 법령(法令)이 두터우면 부자된다.

 * 하관이 넓으면 후분이 길하다.

 * 눈두덩이 두터우면 자식을 많이 둔다.

 * 눈썹이 길면 형제궁이 길하다.

 * 준썹 속에 사마귀가 있으면 귀양간다.

 * 눈썹 사이에 털나면 욕심이 많다.

 * 코끝이 구부러지면 심사가 곱지 못하다.

 * 눈웃음하면 남자는 간사하고 여자는 난잡하다.

 * 귀부리에 살이 없으면 가난하다.

 * 콧중방이 높으면 사귀지 못한다.

 * 눈껍질이 깊은 자는 심술이 많다.

 * 얼굴이 독하면 자식을 많이 둔다.

 

부귀(富貴)되는 법

 * 정월 庚寅日에 부자의 집 전답흙을 파다가 집 십리 밖에 두면 부자가 된다.

 * 대로상에 흙을 파다가 申酉方에 묻으면 부귀한다.

 * 쇠뿔 속의 뼈를 집안 북편에 묻으면 삼년 내에 부귀를 누린다.

 

태 사르는 법

 * 태를 동방에 사르면 그 아이가 장수하고 글 잘하고 과거한다.

 * 태를 서방에 사르면 만사 두루 좋다.

 * 태를 남방에 사르면 장수하고 부귀하다.

 * 북방에 사르면 그 아이가 잘 도적질 한다.

 * 태를 동남간에 사르면 부귀하고 노비가 성하다.

 * 태를 서남간에 사르면 家中이 불안하다.

 

우물 파는 법

 * 우물을 동에 파면 착한 자손이 난다.

 * 우물을 서남간에 파면 자손이 음란하다.

 * 우물을 午方에 파면 좋은 일이 난다.

 * 우물을 未方에 파면 딸자식이 음란하다.

 * 우물을 巳方에 파면 자손이 창성하다.

 * 우물을 북방에 파면 자손에게 불길하다.

 * 우물을 丑方에 파면 부부가 이별한다.

 * 우물을 寅方에 파면 자손이 부귀하고 영화롭다.

 * 우물을 戌方에 파면 병살이 있다.

 * 우물을 辰方에 파면 酒肉이 많다.

 

집에 여인 들이는 법

 * 봄에 동으로 여인이 들어오면 그 집 가장이 죽는다.

 * 가을에 여인이 西로 들어오면 화재본다.

 * 여인이 겨울에 북으로 들어오면 그 집이 크게 흉하다.

 

옷 마르는 법

 옷 마르는 법은 책력의 二十八宿 日字를 보아 옷을 마르는데

 * 角日에 옷을 마르면 집안이 평안하다.

 * 亢日에 옷을 마르면 좋은 음식을 얻어 먹는다.

 * 房日에 옷을 마르면 먹을 것이 많다.

 * 斗日에 마르면 아름다운 음식을 먹는다.

 * 牛日에 마르면 급한 일이 있다.

 * 虛日에 마르면 양식을 많이 얻는다.

 * 壁日에 마르면 보배를 얻는다.

 * 奎日에 마르면 재물을 얻는다.

 * 婁日에 마르면 年年益壽한다.

 * 胃日에 마르면 길하고 상서롭다.

 * 張日에 마르면 즐거운 일이 많다.

 * 翼日에 마르면 관록을 얻는다.

 * 軫日에 마르면 만사 장구 태평하다.

 二十八宿 중에 이 날 이외의 날은 다 불길하다.

    * 二十八宿 : 고대 인도, 페르시아, 중국에서 해와 달 및 행성들의 소재를 밝히기 위하여 黃道를 중심으로

                      나눈 天球의 스물 여덟자리를 말함. 즉

                      동쪽의 角 亢 저 房 心 尾 箕     서쪽의 奎 婁 胃 昴 畢 자 參

                      남쪽의 井 鬼 柳 星 張 翼 軫     북쪽의 斗 牛 女 虛 危 室 壁

 

 <두껍전>에서 두꺼비의 구변 내용이 이처럼 일상적인 삶과 관련된 경험, 상식으로 확장 변질된 것은 당대 독자들이 <두껍전>을 일상적 삶의 다양한 정보나 견문을 넓혀주는 자료로 이해했던 점을 알 수 있다.   (김재환 저, 우화소설의 세계. "두껍전의 민속적 고찰"에서 발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