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한 꽃이나 나무 또는 열매에 상징적인 뜻을 지니게 하여 인간이 말이나 글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을 그 꽃으로 하여금 대변케 하는 데에 꽃말의 의의가 있다. 그래서 사람은 꽃을 증답(贈答)함으로써 자기의 뜻을 넉넉히 전달할 수 있으며 가냘픈 꽃 한송이는 몇 천 마디의 말을 대신해 주고 있는 것이다.
현대인은 그 꽃의 꽃말을 우선 알고 나서 자기의 진정한 뜻을 전달할 줄 아는 상식을 가져야 할 것이다. 꽃말을 잘못 알고 실례되는 뜻을 전하게 될 때 꽃을 받는 사람은 보낸 이의 진정을 돌아보기 전에 그의 성의를 의심하게 된다.
꽃말은 화사(花詞), 즉 Language of Flower라 할 수 있다.
꽃말에는 서구적인 낭만이 깃들어 있다. 최초의 발단은 옛날 그리스 시대부터였으며 로마 시대에 와서 활발하게 성행되었다.
로마가 멸망하고 나서는 꽃말도 한때 쇠퇴하였으나 중세에 이르러 로만 카톨릭교회와 민속행사에 많이 사용되어 오늘날까지 그 풍속의 일부가 되어버린 꽃말도 있다.
예를 들면 그리스 신화의 아폴로가 운동경기의 승리자에게 월계수의 관을 만들어 씌워 주어 승리의 영광을 표시한 데서 월계수는 '승리'라는 꽃말을 가지게 되고 이후 운동경기에 쓰였으며, '순결'과 '부활'을 뜻하는 백합은 기독교의 상징처럼 되어 부활절의 행사에 쓰이게 되었고, '어머니의 사랑'이란 꽃말을 가진 카네이션은 어버이의 날에 쓰이고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꽃빛이나 식물 자체가 풍겨주는 이미지가 꽃말의 밑바닥에 흐르는 것도 있고, 전설이나 신화, 풍속 등에서 비롯된 것도 있으며, 시가 같은 문학적인 자료에서 얻어진 꽃말도 있다.
그러나 단순하게 다른 꽃과의 밸런스를 맞추기 위해 주어진 꽃말도 있다. 이런 꽃말의 근거는 그 식물의 특색에 의해서 의미를 갖게 된 것으로 꽃의 모양, 빛깔, 향기, 꽃피는 시간이나 계절 등에 따라 만들어졌다.
또 동일한 식물이라도 그 부분에 따라 전연 다른 두 가지 꽃말을 가진 것도 있다.
사과나무는 꽃의 꽃말이 '선택'이며 열매의 꽃말은 '유혹'이다. 사과나무의 꽃을 선사하면 '나는 당신을 선택했다'라는 뜻이 된다. 열매의 꽃말은 에덴동산에서 뱀의 유혹으로 아담과 이브가 사과를 따먹었다는 전설에서 비롯되었다는 설도 있고, 사과의 붉은 빛이 유혹하는 듯한 색감이라고 해서 붙여졌다는 설도 있다.
꽃말에는 나라와 풍속에 따라 아주 다른 뜻으로 사용되는 것이 있다.
프랑스에서는 흰라일락은 청춘의 심볼이며 젊은 여성들이 즐겨 몸에 지니는데 비하여, 영국에서는 약혼자에게 이 꽃 한송이를 선사하면 약혼의 파기를 뜻하게 되므로 델리킷한 거절의 표현에 쓰인다고 한다.
꽃의 아름다움보다 그 식물의 특성 때문에 지어진 꽃말도 있다. 유도화의 '주의'라는 꽃말은 이것이 유독(有毒)식물인 데서 이루어졌으며, 봉선화가 '나를 다치지 말라'라는 꽃말을 갖게 된 것은 그 씨주머니가 다치기만 하면 터지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꽃의 전설이 꽃의 이름이 되고 꽃말도 되는 것에 물망초가 있다. 이것은 영명(英名)으로 '나를 잊지 말라(Forget-me-not)'라는 직접적인 표현의 이름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꽃말 중에 그리스 로마의 신화나 전설 또는 풍속을 통해 전해진 것 이외에는 대부분이 영국의 헨리 필립스의 저서 <꽃의 역사>(1822년)에 나오는 꽃의 상징에서 시작된 것이다.
동양에서는 옛날부터 송죽(松竹)을 '정절'에 비기고 국화나 매화를 '고결'에 비겨 시가에 표현하였으나 오늘날과 같이 꽃다발을 보내 뜻을 전달하는 풍습은 없었기 때문에 꽃말도 발달되지 못했던 것이다.
갖가지 꽃의 꽃말과 꽃전설은 같은 카테고리 '꽃말 꽃의전설'에 계속적으로 수록하고 있음.
'꽃말 꽃의전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팬지/오랑캐꽃/패랭이꽃 (0) | 2012.03.13 |
---|---|
칸나/ 오렌지/ 사루비아 (0) | 2011.10.25 |
히아신스/ 수국/ 양귀비 (0) | 2011.06.16 |
네모필라/ 아네모네/ 크로카스 (0) | 2011.04.26 |
매화(梅花) (0) | 2011.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