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화살의 비유
마룬구야라는 제자가 어느 날 불만한 기색으로 붓다 앞에 나타났다. 그는 어떤 문제에 대해서는 붓다가 해답을 해 주지 않아 늘 마음이 꺼림칙했던 것이다.
그 문제라는 것은 당시의 사상가들 사이에 유행하고 있던 것으로 '이 세계는 유한인가 무한인가' 혹은 '영혼과 신체는 동일한가 유별한가' '인간은 사후에도 존재 하는가 존재하지 않는가' 하는 문제들인데, 철학을 즐기는 마룬구야에겐 붓다가 그런 문제들에 대해 명쾌한 해답을 주지 않는게 불평이었다.
"세존아, 이전처럼 대답을 회피하신다면, 저는 세존의 곁을 떠나 속세로 돌아갈까 합니다."
붓다는 이윽히 제자를 보고 있다가 한참만에야 입을 열었다.
"마룬구야여, 여기 한 사람이 독화살에 맞았다고 하자. 그때 그의 벗들은 황급히 의사를 모셔 올 것이다. 그런데 그는 먼저 나를 쏜 자는 누군가. 나를 맞친 화살은 어떤 활이었던가. 또 그 화살은 어떤 모양인가 그런 문제가 해명되지 않는 한 이 화살을 뽑을 수 없고 치료도 할 수가 없다고 주장한다면 어떻게 되겠는가. 마룬구야여, 그는 그와같은 것을 알기도 전에 죽고 말 것이다.
마룬구야여, 세계가 유한이냐 무한이냐. 영혼과 신체는 동일한가 별개인가. 인간은 사후에도 존재하는가 존재하지 않는가. 그런 문제에 대답한다 해도 우리들의 고된 인생의 해결은 될 수가 없다. 우리들은 현재의 생에 있어서 이 고된 인생을 극복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자면 마룬구야여, 내가 하지 않은 말은, 하지 않은대로 받아 두는게 좋다. 내가 한 말은 말한대로 받아들이는게 좋다...... ."
여기서 말한 붓다의 말씀은 '독화살의 비유'라고 해서 불교도들 사이에 잘 알려져 있다.
불교도는 일체의 무용한 논의를 해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 맹구부목(盲龜浮木)
불교에서 예로부터 전해오는 비유 중에 맹구부목이라는 말이 있다. 이 비유는 붓다가 이렇게 시작한 것이다.
"비구들아, 어느 사람이 한 조각의 멍에를 대해에 던졌다고 하자. 그 멍에엔 한군데 밖에 구멍이 없다. 그런데 여기에 한 마리 거북이 있어 백년에 한 번 해면에 떠서 목을 내민다고 하자. 그 거북이 해면에 떠서 그 멍에의 구멍에 목을 들여 밀 때가 있겠는가?"
"대덕아, 설사 그런 때가 있을지는 모르나 그게 어느 때가 될는지요?"
"비구들아, 과연 그렇다. 그러나 백년에 한 번 해면에 뜨는 맹구가 멍에의 구멍에 목을 넣는 것보다 더 희유한 것이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것은 한번 악에 떨어진 사람이 두번 다시 인신을 얻는다는 것은 더욱 희유한 것이다."
이것은 세상에 인신으로 태어나서 불법의 가르침을 받는다는 것처럼 인생에 있어 더 희유한 일은 없다는 것을 강조한 것이다.
'故事熟語 神話傳說' 카테고리의 다른 글
佛敎, 그 思想의 원리(5). 제2의 화살/末羅族의 우물 (0) | 2022.07.13 |
---|---|
그리스도의 餘滴(5), 보라, 이 사람을/復活/베로니카의 수건 (0) | 2022.06.22 |
그리스도의 餘滴(4), 미사/밋션/삐에타의 畵像 (0) | 2022.05.25 |
佛敎, 그 思想의 원리(3).꽃 香氣/如實智見 (0) | 2022.05.17 |
그리스도의 餘滴(3), 모세/文化鬪爭/물고기 (0) | 2022.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