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솝 우화2) 여우와 까마귀/여우와 황새/영감과 아들과 나귀 # 여우와 까마귀 어느 날 까마귀가 치즈 한 쪼각을 훔쳐서 그것을 조용히 먹으려고 나무 숲 속으로 날아갔다. 까마귀는 치즈를 주둥이에 물고 나무에 앉아 있었다. 마침 여우가 지나가다가 나무 위를 쳐다보았다. (참 치즈 냄새도 좋다. 저것을 꼭 빼앗을 테야, 나는 여우야.) 하고 여우는 .. 우화의 세계 2013.03.27
바다엽신/李外秀 바다엽신 누군가는 고독을 질겅질겅 씹으며 산다고 했다. 또 다른 누군가는 고독을 외출복처럼 갈아입으며 산다고 했다. 무슨 상관이랴. 고독이 달밝은 밤에 보초 서는 흑인 병사의 어금니에 질겅질겅 씹히는 츄잉검이건 여름 방학에 여행을 떠나는 재벌의 바람기 있는 외동딸 미니 스커.. 불후의 명수필 2013.03.15
춘천의 봄/李外秀 春川의 봄 춘천을 아는가. 춘천의 겨울은 그대로 쓰라림, 나는 언제나 혼자였었다. 마지막 사랑도 버리고 마지막 비틀거림도 버리고, 공지천 물 가로 나가보면 스산한 바람뿐, 사는 것은 언제나 부질없었다. 밤이면 우두벌판을 내달아 와 벽을 때리는 바람 소리. 가슴도 허전하게 비어 나.. 불후의 명수필 2013.03.06
[스크랩] 트로트 동영상 트로트 동영상 금잔디- 일편단심 신유-고장난벽시계 윤수일-터미널 금잔디-붉은입술 송대관,신지-분위기 좋고 남진,장윤정-당신이 좋아 민지-초혼 원미-수덕사의 여승 장윤정-꽃 김용임-낙화유수 정수빈-눈물의연평도 유지나-초가삼간 조항조-남자라는이유로 유지나-저하늘의별을찾아 .. 音으로 樂한다 2013.03.01
일하는 사람의 마음 속에는 신의 힘이 있다. 일을 한 뒤에는 기쁨이 있다. 그 일이 어려운 일이면 어려운 일일수록 그 뒤에 오는 기쁨은 큰 것이다. 일한다는 것은 그 자체 속에 도덕과 행복이 들어 있다. 일하는 사람의 마음 속에는 신의 힘이 생기는 것이다. 그 힘은 전지전능한 신이 사람에게 주는 것이다. 사람이 그가 하지 않으면.. 敎養名言 2013.02.24
[스크랩] 伍代夏子 * 空 港 ◐ http://blog.daum.net/hjg8526 著者 はみ量 なんでもいろいろ. 編集 재갈량. ブログに来られた良いあなたたち 心より歓迎します。安らかな 休息所になられるように 願います... 伍代夏子 * 空 港 作詞 * 山上路夫 作曲 * 猪俉公章 나니모시라즈니 아나따와잇따와 다마니와히또리노 다.. 音으로 樂한다 2013.02.20
민속에 따른 음식금기(飮食禁忌) 음식금기란 경험 또는 속신에 따라 음식을 먹지 못하게 하는 금기 사항이다. 음식에 대한 금기는 문헌이나 구전으로 전해 오는데 다음과 같이 몇 갈래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일상적인 음식금기 일상적인 음식금기에 대해 <규합총서> 불식(不食) 조에 보면, "새끼 자라를 먹지 말 .. 歲時風俗 2013.02.15
[스크랩] 잘있거라 공항이여 / 문주란 잘있거라 공항이여 / 문주란 안개내린 김포공항 가로등도 내마음같이 떠나가는 그사람을 아쉬워하네 수많은 사연들을 안개속에 묻어버리고 웃으면서 보내리다 잘있거라 공항이여 이슬내린 활주로에 그사람을 멀리보내고 돌아서는 이발길은 한없이 무겁구나 졸고있는 가로등아 너와 나.. 音으로 樂한다 2013.0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