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동영상)가시나무새 The Thorn Birds - Original Sin Elton John - Songs from the West Coast 야심 만만한 젊은사제 랄프 브리카사와 순진한 장미꽃 봉오리같은 소녀 매기 클리어리 40여 년에 걸친 인간적인 성숙과 시련, 감정의 기복과 갈등을 통해 처절하고도 아름답게 그려지는 가시나무새,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 신과 .. 영화 2011.10.05
운명과 사주 - 홍만종/순오지 운명을 짐작한 서적을 보면 여러 가지가 있다. 오행(五行), 성명 학문인 자평(子平), 점성술인 성요(星耀), 천문학인 자미(紫微)라고 하는 여러 가지 논설이 길흉에 부합되는 경우가 많다. 생각해 봤더니 갑자년 정월 초하루 자시(子時)로부터 계해년(癸亥年) 섣달 그믐날 해시(亥時)까지의 사이에 윤달 .. 여강의 글B(논문·편글) 2011.10.01
[스크랩] 下町の太陽 / 伍代夏子 町の太陽 / 伍代夏子 作詞 / 橫井 弘 作曲 / 江口浩司 (一) 下町の空にかがやく太陽は よろこびと悲しみ寫す ガラス窓 心のいたむその朝は 足音しみる橋の上 ああ 太陽に呼びかける (二) 下町の戀を育てた太陽は 曇日に 二人で分けた 丸いあめ 口さえ聞けず別れては 祭りの午後のなつかしく あ.. 音으로 樂한다 2011.09.28
참는 것이 힘이다 누구나 다 좀 더 좋은 일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마음에는 있으면서 막상 실행에 옮기지 못함은 노력이 부족한 까닭이다. 모든 착한 일과 좋은 일을 실행하는 데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그러나 그 노력은 두 서너 번 되풀이한다면 차츰 습관이 되어 버려서 그 후에는 그다지 애쓰지.. 敎養名言 2011.09.26
[스크랩] 아일랜드 민요 / 여름날의 마지막 장미- 샬롯 처치, 울리 마일즈(율린 파이 아일랜드 민요 / 여름날의 마지막 장미- 샬롯 처치, 울리 마일즈(율린 파이프 : 아일랜드 악기) Irish Traditional Music / The Last Rose of Summer Uli Miles uilleann Pipes Julian Smith conductor Ra'anana Symphonette Orch. Charlotte Church in Jerusalem 音으로 樂한다 2011.09.23
끄르일로프의 우화2) 사자와 이리/여우와 모르모트/이리와 뻐꾹새 # 사자와 이리 어느날 아침 사자가 염소새끼를 잡아먹고 있었다. 이 때 강아지 한 마리가 사자의 밥상 옆을 졸랑졸랑 돌아다니다가 고기 한 점을 집어 먹었다. 아직 철부지 강아지의 소행인지라 사자는 눈살만 찌프렸을 뿐 성은 내지 않았다. 이 광경을 이리 한 마리가 저편에서 바라보고 있었다. (옳지.. 우화의 세계 2011.09.20
[스크랩] 라임라이트 Limelight 라임라이트 / Limelight 음악적인 리뷰 + 음악 모음 1952년/ 제작+원작+각본+감독+음악= Charles Chaplin 주연:Charles Chaplin+Claire Bloom/147분(런던 개봉 판) 인생은 누구에게나 전성기라는 게 있게 마련이다. 그러나 세월이 흘러가면서 한번 지나간 전성기는 영영 다시 오지 않는 것일까? 다시 한 번, 다시 한 번, 또 .. 영화 2011.09.17
꽃말과 꽃전설의 의의(意義) 특정한 꽃이나 나무 또는 열매에 상징적인 뜻을 지니게 하여 인간이 말이나 글로 표현할 수 없는 감정을 그 꽃으로 하여금 대변케 하는 데에 꽃말의 의의가 있다. 그래서 사람은 꽃을 증답(贈答)함으로써 자기의 뜻을 넉넉히 전달할 수 있으며 가냘픈 꽃 한송이는 몇 천 마디의 말을 대신해 주고 있는 .. 꽃말 꽃의전설 2011.09.14
[스크랩] 우리소리 신동 송소희 동영상 우리소리 신동 송소희 동영상 송소희 소속: 충남 예산군 덕산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중인 송소희(12세). 특징: 예산이 나은 국악신동 여의도 KBS공개홀에서 열린 전국노래자랑 2008연말 결선에서 창부타령을 불러 상반기 결선 최우수상에 이어 연말결선 대상까지 차지했으며 전국노래자랑 29년만에 최연.. 音으로 樂한다 2011.09.11
추석(秋夕, 한가위) 茶禮 省墓 告祀 음력 8월 보름날을 속칭 秋夕 또는 가윗날(嘉俳日), 한가위라고도 한다. 그런데 8월 15일을 中秋 또는 秋中이라고 하지 않고 특히 秋夕이라고 하는 것은 이 날의 인상 깊은 月夕에 관련시켜 명명된 것이라고 생각된다. 嘉俳日이라는 한자어는 신라 이래의 우리 고유.. 歲時風俗 2011.09.10